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31,581.28 +435.98포인트(+1.40%)
S&P500지수 3,979.87 + 71.68포인트(+1.83%)
나스닥 지수 11,791.90 +246.99포인트 (+2.14%)
3대 지수는 8월 둘째 주부터 주간 단위로 3주 연속 하락했다. 연준이 9월에도 긴축 속도를 완화하지 않으리라고 예상되면서 주가는 하락 압력을 받았다. 다만 이날은 개장 초부터 반발 매수세로 지수는 반등에 성공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의 반등에 일조했다.
그러나 연준의 고강도 긴축 우려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미 금융시장은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도 금리를 0.75%포인트 올린다면 이는 올해 들어 세 번째 0.75%포인트 인상이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고, 지금까지 상당한 조처를 했음에도 연준의 할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도 이날 연설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리기 위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만 과도한 긴축이 가져올 위험에 대해 언급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브레이너드는 "빠른 긴축 속도와 그러한 세계적인 특성은 긴축이 총수요에 미치는 속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과도한 긴축과 관련한 위험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 3.25%로 상향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이번 주 금리를 0.50%~0.75%포인트가량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긴축 속도가 강화되면서 세계 경기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뉴욕 유가는 이날 5% 이상 하락하며 배럴당 81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발표된 연준의 경기평가 보고서인 베이지북에 따르면 12개 지역 전체 미국의 경제활동은 7월 이후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었다. 연준은 향후 6~12개월 동안 수요가 추가로 약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래 경제 성장에 대한 전망은 전반적으로 약한 상태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또한 물가 압력은 연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무역적자는 4개월 연속 줄었다.
7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102억 달러(12.6%) 감소한 706억 달러를 기록했다.
UBS가 올해 연말 S&P500지수 전망치를 기존 4,150에서 4,000으로 하향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연준의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위험을 고려할 때 기업들의 수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을 고려한 조치다. 내년 S&P500지수 연말 전망치도 기존 4,440에서 4,200으로 하향했다.
S&P500 지수 내 에너지 관련주를 제외하고 10개 업종이 모두 올랐다. 유틸리티,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3% 이상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개별 종목 중에 애플이 아이폰14를 공개한 가운데 애플 주가가 0.9%가량 올랐다.
트위터 주가는 회사와 일론 머스크와의 인수 분쟁 소송에서 델라웨어 법원이 트위터 내부고발자의 주장을 소송 자료에 인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는 소식에 6% 이상 올랐다.
소프트웨어 업체 유아이패스의 주가는 회사가 실적 예상치를 하향했다는 소식에 11% 급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고강도 긴축 우려는 주가에 계속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XM의 카랄람포스 피소로스 선임 투자 애널리스트는 마켓워치에 "더 공격적인 금리 인상 기대가 커지면서 주식이 타격을 받고 있다"라며 "더 높은 금리는 기업들의 차입 비용을 더 높이고, 특히 기술기업들의 미래 현금 흐름을 할인해 현재 가치를 감소시킨다"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4%로 반영됐다.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26%에 달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27포인트(8.44%) 하락한 24.64에 거래됐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2561
뉴욕증시, 반발 매수·금리 하락에 상승…나스닥 2.14%↑마감 - 연합인포맥스
*그림1*NYSE 입회장에 트레이더의 모습(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 우려에도 반발 매수세와 국채금리 하락세에 상승했다.7일
news.einfomax.co.kr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9089457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잭슨홀 이후 첫 랠리, 3900 지켜낸 S&P…바닥?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잭슨홀 이후 첫 랠리, 3900 지켜낸 S&P…바닥?,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잭슨홀 이후 첫 랠리, 3900 지켜낸 S&P…바닥?



주요 지수는 조심스러운 가운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유가 등 에너지 가격이 기록적 수준으로 폭락해 인플레이션 우려를 크게 덜어줬기 때문입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4.94달러(5.69%) 하락한 배럴당 81.94달러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하락률은 지난 7월 21일 이후 최대였고, 종가는 1월 11일 이후 8개월 만의 최저치였습니다. 브렌트유도 장중 배럴당 87.70달러까지 내렸습니다. 브렌트유는 2월 초 이후 8개월간 90달러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습니다.

밤새 중국의 무역 데이터는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를 더 했습니다. 8월 수출은 +7.1%로 넉 달 만에 한 자릿수 증가에 그쳤습니다. 시장 예상치(12.8%)를 한참 밑도는 수치입니다. 지난 5~7월에는 증가율이 16~18% 수준이었습니다. 주요 도시에 대한 봉쇄가 이어지면서 중국의 8월 원유 수입은 하루 950만 배럴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주요 7개국(G7)이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대해 유가 상한제를 시행하기로 한 데 대해 "우리의 경제적 이익에 반대된다면, 아무것도 공급하지 않을 것"이라며 "가스도, 원유도, 석탄도, 휘발유도 아무것도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런 푸틴의 협박은 오히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브레이너드 부의장 발언, 베이지북이 발표된 뒤 금리는 꾸준히 하락했습니다. 결국,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오후 4시 20분께 전날보다 7.2bp 내린 3.278%에 거래됐습니다. 2년물도 5.4bp 하락한 3.460%를 기록했습니다. Fed워치 시장의 75bp 인상 베팅도 70%대로 떨어졌습니다. 전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미 달러화도 약세도 돌아섰습니다. ICE 달러 인덱스는 전날보다 0.6% 낮아진 109.5로 내려왔습니다.


푸틴의 협박에도 에너지 가격 하락이 이어진 것도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서 호재입니다. 씨티그룹은 "8월 글로벌 공급망 압력 지수가 많이 완화되었다"라고 밝혔습니다. 2020년 후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내려왔다는 것입니다. 씨티는 "우리의 경험적 분석은 상품 인플레이션이 앞으로 몇 개월 동안 급격히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정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높지만, 최소 공급망 압력의 완화는 인플레이션과 싸움에서 고무적 단계"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에너지의 경우 불확실성이 여전히 너무 큽니다. BCA리서치의 로버트 라이언 원자재 전략가는 "경기 침체로 인한 하락 위험보다는 공급 요인과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상승 위험이 더 크다고 본다"라고 말했습니다.
통상 주가가 상승할 때는 이처럼 과매도 조건에 따라 반등을 시작한 뒤 기술적 지지선까지 돌파하느냐 여부가 중요합니다. 그런 다음 거시경제적 변수가 호의적으로 변하면서 상승장이 본격화되지요.
S&P500 업종 중 오늘 가장 많이 상승한 게 경기방어 업종인 유틸리티(+3.14%)라는 점도 약간은 걸리는 점입니다. 통상 기술주가 상승세를 이끌어야 강세장은 오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늘 기술주 대장인 애플은 아이폰14를 공개했는데도 시장 상승 폭의 절반에 불과한 0.93%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델로스 캐피털의 앤드루 스미스 전략가는 "수요일 랠리가 3주간의 매도 이후 진정한 반전처럼 보이지 않는다"라면서 "상승 경로가 명확해졌다면 유틸리티가 현재 위치에 있어서는 안 된다. 아직 시장은 방어적 경향이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유틸리티는 올해 들어 거의 10% 올랐습니다(동일 가중평균 기준).

올스프링 글로벌 인베스트먼트의 마가렛 파텔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세계 경제가 둔화하고 있으며 역동적인 반등 직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때는 아니다”라며 "기업 이익이 많이 줄어들 것이다. 많은 주식이 하락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크레디 스위스의 조너선 골럽 전략가는 S&P500 기업이 강력한 2분기 실적을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두 달간 3분기 실적 추정치가 5.5%나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통상 분기 내내 전망치가 하락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추세는 평소보다 훨씬 더 약하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09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12 |
---|---|
2022090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12 |
20220906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12 |
20220902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04 |
2022090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