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노동절 연휴 후 첫 거래일에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1,145.30 -173.14포인트 (-0.55%) .
S&P500지수 3,908.19 -16.07포인트 (- 0.41%)
나스닥 지수11,544.91 -85.95포인트 (-0.74%)
투자자들은 지난주 후반 나온 고용 보고서를 소화하며, 이번 주 나올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발언, 서비스업 지표 등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의 8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31만5천 명 증가해 7월(52만6천 명 증가) 수준에는 못 미쳤으나 월가의 예상치(31만8천 명 증가)에는 대체로 부합했다. 8월 실업률은 반세기만의 최저치에서 소폭 올라 3.7%를 나타냈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미국 경제를 연착륙시킬 수 있다고 낙관했다.
연착륙에 필요한 추세를 밑도는 성장세, 신규 고용 둔화와 실업률의 완만한 상승 등으로 나타나는 노동시장의 재조정, 인플레이션의 큰 폭 하락 등에서 고무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고용 지표 발표 이후에도 연준이 9월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0% 이상으로 여전히 절반을 넘는다.
미국 서비스업 지표는 집계 기관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8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계절조정)는 43.7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7월의 확정치인 47.3보다 크게 낮아진 것으로 예비치인 44.1보다도 낮았다. 수치는 50을 밑돌아 서비스 업황이 위축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서비스업 PMI는 56.9로 집계돼 전월치인 56.7과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55.5를 모두 웃돌았다. 이날 수치는 지난 4월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27개월 연속 확장세를 이어갔다.
이번 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한 다수의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이 예정돼 있다.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지속해서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를 확인할 때까지 긴축 강도를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오는 13일 발표될 예정이다.
투자자들은 유럽의 에너지 위기에도 주목하고 있다.
러시아가 유럽행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을 통한 가스공급을 잠정 중단하면서 유럽의 에너지 위기 우려가 커졌다. 다만 해당 소식에 전날 크게 하락했던 유럽 증시는 이날 반등했다.
S&P500지수 내 부동산, 유틸리티, 산업, 헬스 관련주가 오르고 나머지 7개 업종은 하락했다.
개별 종목 중에 CVS 헬스의 주가가 재택의료 서비스업체 시그니파이헬스를 80억 달러가량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힌 가운데 0.7%가량 하락했다.
베드배스앤드비욘드의 주가는 회사 최고재무책임자(CFO)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 이후 18% 이상 하락했다.
페덱스의 주가는 씨티가 투자 의견을 내렸다는 소식에 2% 이상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가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잔나 스트리터 애널리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에 "기업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고, 침체는 심화하면서 주가가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팬데믹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고려하면, 주가가 추가로 하락할 여지가 여전히 있다"고 덧붙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2%로 반영됐다.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28%에 달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2포인트(3.54%) 상승한 26.91에 거래됐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2306
뉴욕증시, 노동절 연휴 후 하락 지속…다우 0.55%↓마감 - 연합인포맥스
*그림1*NYSE 입회장에 트레이더들의 모습(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노동절 연휴 후 첫 거래일에 하락했다. 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news.einfomax.co.kr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9076292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금리, 달러가 이렇게 높다면 "주식 상승 어렵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금리, 달러가 이렇게 높다면 "주식 상승 어렵다",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금리, 달러가 이렇게 높다면 "주식 상승 어렵다"

오전 9시 30분 주요 지수는 0.1~0.4% 수준의 상승세로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오름세는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금리가 치솟으면서 주가를 압박했습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아침부터 가파르게 상승하더니 한때 3.352%까지 치솟았습니다. 지난 6월 중순 만들었던 연고점 3.47%에 육박했습니다. 오후 3시 50분께 14.2bp나 급등한 3.341%에 거래됐습니다. 2년물도 9.9bp 오른 3.501%를 기록했습니다.




유럽뿐이 아닙니다. 오늘 호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50bp 인상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몇 개월 동안 더 많은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내일 정책회의를 갖습니다. 75bp 인상이 예상됩니다.




월가 일부에서는 지속해서 Fed의 양적 긴축(QT)에 대한 불안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을 덮고 있는 다른 종말론적 시나리오'(The Other Doomsday Scenario Looming Over Markets)라는 기사에서 글로벌 금융위기와 팬데믹을 성공적으로 헤쳐나왔던 영국 펀드 러퍼LLP의 알렉스 르나드 투자 책임자가 "큰 걱정은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Fed가 양적 완화(QE)를 철회하는 것”이라며 보유 자산의 40%를 현금과 현금성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Fed의 자산 감축이 시장 유동성의 유동성을 빨아들여 시장이 갑자기 하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장은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증시는 명백한 하락 추세다. S&P500 지수는 200일 이동평균선을 깨는 데 실패한 뒤 내림세를 보인다. Fed는 경기 둔화를 목표로 긴축하고 있으며 뭔가 깨질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유럽은 금리를 올려 경기 침체를 향하고 있다. 9월은 계절적으로 악명이 높다. 만약 QT가 정말 큰 위협(대부분 관련 없다고 본다)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이달 가속화됐다.
▶다음 주 소비자물가(CPI) 발표는 Fed 인사들의 블랙아웃(침묵) 기간에 나올 것이므로 시장은 9월 FOMC가 50bp 혹은 75bp 어디로 기울어지는지 잘 판단해야 한다. 나는 여전히 그것이 마지막 대규모 인상이고 아마도 금리 인상의 일시 정지가 눈앞에 있다는 느낌과 함께 주식에는 크게 위협적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S&P500 지수가 6월 저점(3666)을 다시 깨고 내려갈 것으로 보는 비관론자들의 목표치는 3300~3500 주위에 모여 있다. 6월 저점에 가까워지면 2020년 9월 2일 대선 직전 최고점인 3580을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다만 나쁜 약세장이라도 궁극의 저점에서 그렇게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기억할 가치가 있다. 이건 전술적으로 마지막 대폭락의 타이밍을 잡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0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12 |
---|---|
20220907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12 |
20220902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04 |
2022090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04 |
2022083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