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산업 (08/05)
32,803.47 +0.23%
🇺🇸 나스닥 (08/05)
12,657.55 -0.50%
🇺🇸 S&P 500 (08/05)
4,145.19 -0.16%
🇩🇪 독일 DAX30 (08/05)
13,573.93 -0.65%
🇬🇧 영국 FTSE100 (08/05)
7,439.74 -0.11%
뉴욕증시, 고용 깜짝 증가에 혼조…나스닥 0.5%↓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7월 고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우려가 강화돼 하락했다.
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65포인트(0.23%) 오른 32,803.4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75포인트(0.16%) 떨어진 4,145.19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3.02포인트(0.50%) 밀린 12,657.56으로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고용 보고서와 연준의 긴축 우려 등을 주목했다.
이날 고용이 경기 침체와는 거리가 먼 상황임을 확인시켜주면서 연준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강화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52만8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25만8천 명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날 고용은 전달 기록한 39만8천 명도 크게 웃돈다.
7월 실업률은 3.5%로 집계돼 코로나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2월에 기록한 수치(3.5%)로 돌아갔다. 3.5%의 실업률은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이다. 임금상승률은 지난달보다 0.5% 올랐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올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고용 지표 발표 후 주가지수 선물은 하락세로 돌아섰고, 달러화 가치는 크게 올랐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장중 1% 이상 오른 106.936까지 올랐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14bp(0.14%포인트) 급등한 2.84% 근방에서 거래됐다. 2년물 국채금리도 17bp(0.14%포인트)가량 올라 3.22% 근방에서 거래됐다. 둘 간의 스프레드(차이)는 40bp를 넘어서며 200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를 웃도는 금리 역전은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된다.
연준이 더욱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단기물 금리가 더 크게 오른 것이 금리 격차를 확대했다.
미국의 7월 고용이 깜짝 증가하자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9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60%를 넘어섰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 폭을 낮춰 0.50%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개별 주가는 회사별 이슈들에 영향을 받았다.
AMC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회사가 우선주 형태로 주식을 발행해 특별 배당에 나설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가 다시 급반등해 19%가량 상승했다.
버진 갤럭틱의 주가는 첫 상업 비행 일정을 연기했다는 소식에 17%가량 하락했다.
질로우의 주가는 주택시장 둔화를 반영한 3분기 실적 전망치를 내놓으면서 1% 이상 하락했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는 2분기 손실 전환됐다는 소식에 16% 이상 떨어졌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 지표로 연준이 긴축 속도를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은 크게 약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라일리 파이낸셜의 아트 호건 수석 시장 전략가는 CNBC에 "연준이 내년에 방향을 틀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에 올라탄 사람들은 다음 역에서 내려야 할 것"이라며 "이는 더이상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분명 경제가 무너질 듯 소리를 내거나, 혹은 침체로 향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플란테 모란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스의 짐 베어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마켓워치에 "이번 지표는 9월 연준이 0.75%포인트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테이블 위에 올려놨다"라며 이번 고용 보고서는 "연준의 패를 강화하는 동시에, 계속 긴축을 해나갈 수 있는 용이한 상황에 그들을 놓았다"라고 평가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33.5%에 달했다. 전날의 66%에서 하락한 것이다.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66.5%로 전날의 34%에서 크게 올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9포인트(1.35%) 하락한 21.15를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8061120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미친 고용→공격적 Fed, "침체 아니지만, 곧 온다"

5일(미 동부 시간) 아침 8시 30분, 미 노동부의 7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된 뒤 월가에서 내놓은 반응입니다. 고용 수치는 월가 예상을 훨씬 넘어 뜨겁다 못해 '지글지글' (sizzling, 블룸버그) 끓었습니다.

7월 신규 일자리는 52만8000개 증가했습니다. 예상cl 25만8000개를 두 배 이상 상회했습니다. 게다가 6월 수치가 기존 37만2000개가 39만8000개로 더 높게 수정되면서 지난 두 달간 수치도 2만8000개나 늘어났습니다.



시간당 평균 소득은 전월 대비 0.5%(정확히는 0.47%), 1년 전보다 5.2% 증가해 예상(0.3%)보다 훨씬 더 높았습니다. 게다가 6월 임금 상승률도 기존 0.31%에서 0.44%로 높게 수정됐습니다. Fed가 지난 3월부터 긴축을 시작했는데도, 노동시장에선 임금 상승 폭이 더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③ 낮아진 노동참여율





골드만삭스는 9월 50bp 인상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얀 헤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 고용보고서는 과열된 노동시장을 나타내지만, 이는 계속 조여지고 있다. 우리는 계속해서 올해 100bp(9월 50bp, 11월 25bp, 12월 25bp) 인상을 예상한다. 좀 더 빨리 올리거나 더 크게 올릴 수 있는 위험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웰스파고는 "9월 최소 50bp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향후 두 차례 소비자물가(CPI)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 징후가 나타나지 않으면 75bp가 인상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소폭 상승하던 주가지수 선물은 급락했습니다. 월가는 그동안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라는 내러티브 속에서 반등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이번 주 Fed 위원들이 벌떼처럼 나와 Fed 전환에 대한 기대를 많이 식혀놓았기 때문에 폭락하진 않았습니다. 오전 9시 30분 다우는 0.41%, S&P500 지수는 0.96% 내리면서 출발했고 나스닥은 1.25% 떨어진 채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B. 라일리의 아트 호건 전략가는 CNBC 인터뷰에서 "'Fed가 내년에 선회하고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말에 증시에 뛰어든 사람은 다음 역에서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뉴욕 증시는 쉽게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하락 폭을 줄였습니다. 결국, 다우는 0.23%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S&P500 지수는 0.16%, 나스닥은 0.50% 내림세로 마무리됐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s://www.youtube.com/watch?v=aBb5XCjuYQo
▲3대 지수 혼조 채권: 금리 급등.. 2년물 19bp 급등하며 3.2% / 10년물 16bp 이상 급등하며 2.839% 외환: 달러화 지수 상승.. DXY 106.5 유가: WTI +0.53% 배럴당 89.01달러
▲고용지표, 깜짝 호조
7월 비농업 부문 고용, 52만8천 명 증가 예상치(25만8천 명 증가)보다 두 배 이상 7월 실업률 3.5%..팬데믹 직전 수준
▲전문가 평가..
9월 FOMC 75bp 자이언트 스텝 유력 금리선물시장, 75bp 66.5%..전일 34%대에서 급등 릭 라이더 / 블랙록 CIO "고용 강세, 연준이 아마도 75bp 단행할 것이라는 점 시사.. CPI가 급격하게 약화하지 않는다면" 급등하고 있는 임금, 정체된 경제활동 참가율 향후 인플레 부추길 핵심 지표로 지목
▲다음주 10일 7월 CPI 발표 예정, 지난달 9.1%... 8.7%로 둔화 예상 근원 CPI는 6.1% 예상..전월치 5.9%보다 높을듯 소비자심리지수, 기대인플레도 발표
▲섹터, 종목 자재, 부동산, 산업, 금융, 에너지 제외 하락 종목
https://finviz.com/map.ashx 아마존, 주당 61달러에 아이로봇 인수 계약 체결 AMC 우선주 형태로 주식 발행해 특별 배당 버진 갤럭틱, 첫 상업비행 일정 연기 질로우, 주택시장 둔화 반영, 3분기 전망치 하향 워너브라더스 2분기 손실 전환
▲주간 평가 S&P 0.4% 상승 / 나스닥 2.2% 상승 /다우 0.1% 하락 S&P, 나스닥 3주 연속 상승
S&P 500 Map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finviz.com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9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13 |
---|---|
2022080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13 |
20220804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20220803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20220802 뉴욕 증시 마감 (1)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