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20220805 뉴욕 증시 마감

테이바 2022. 8. 6. 13:57

🇺🇸 다우산업 (08/05)
32,803.47   +0.23%

🇺🇸 나스닥 (08/05)
12,657.55   -0.50%

🇺🇸 S&P 500 (08/05)
4,145.19    -0.16%

🇩🇪 독일 DAX30 (08/05)
13,573.93   -0.65%

🇬🇧 영국 FTSE100 (08/05)
7,439.74    -0.11%

 

뉴욕증시, 고용 깜짝 증가에 혼조…나스닥 0.5%↓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7월 고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우려가 강화돼 하락했다.
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65포인트(0.23%) 오른 32,803.47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75포인트(0.16%) 떨어진 4,145.19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3.02포인트(0.50%) 밀린 12,657.56으로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고용 보고서와 연준의 긴축 우려 등을 주목했다.
이날 고용이 경기 침체와는 거리가 먼 상황임을 확인시켜주면서 연준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강화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52만8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25만8천 명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날 고용은 전달 기록한 39만8천 명도 크게 웃돈다.
7월 실업률은 3.5%로 집계돼 코로나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2월에 기록한 수치(3.5%)로 돌아갔다. 3.5%의 실업률은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이다. 임금상승률은 지난달보다 0.5% 올랐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올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고용 지표 발표 후 주가지수 선물은 하락세로 돌아섰고, 달러화 가치는 크게 올랐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장중 1% 이상 오른 106.936까지 올랐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14bp(0.14%포인트) 급등한 2.84% 근방에서 거래됐다. 2년물 국채금리도 17bp(0.14%포인트)가량 올라 3.22% 근방에서 거래됐다. 둘 간의 스프레드(차이)는 40bp를 넘어서며 200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를 웃도는 금리 역전은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된다.
연준이 더욱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단기물 금리가 더 크게 오른 것이 금리 격차를 확대했다.
미국의 7월 고용이 깜짝 증가하자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9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60%를 넘어섰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 폭을 낮춰 0.50%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개별 주가는 회사별 이슈들에 영향을 받았다.
AMC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회사가 우선주 형태로 주식을 발행해 특별 배당에 나설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가 다시 급반등해 19%가량 상승했다.
버진 갤럭틱의 주가는 첫 상업 비행 일정을 연기했다는 소식에 17%가량 하락했다.
질로우의 주가는 주택시장 둔화를 반영한 3분기 실적 전망치를 내놓으면서 1% 이상 하락했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는 2분기 손실 전환됐다는 소식에 16% 이상 떨어졌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 지표로 연준이 긴축 속도를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은 크게 약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라일리 파이낸셜의 아트 호건 수석 시장 전략가는 CNBC에 "연준이 내년에 방향을 틀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에 올라탄 사람들은 다음 역에서 내려야 할 것"이라며 "이는 더이상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분명 경제가 무너질 듯 소리를 내거나, 혹은 침체로 향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플란테 모란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스의 짐 베어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마켓워치에 "이번 지표는 9월 연준이 0.75%포인트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테이블 위에 올려놨다"라며 이번 고용 보고서는 "연준의 패를 강화하는 동시에, 계속 긴축을 해나갈 수 있는 용이한 상황에 그들을 놓았다"라고 평가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33.5%에 달했다. 전날의 66%에서 하락한 것이다.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66.5%로 전날의 34%에서 크게 올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9포인트(1.35%) 하락한 21.15를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8061120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미친 고용→공격적 Fed, "침체 아니지만, 곧 온다"

김현석 기자기자 스크랩
입력2022.08.06 07:31 수정2022.08.06 12:40
글자크기 조절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있다면, 아무도 고용주들에게 말해주지 않은 것 같다."(웰스파고) "미국이 경기 침체에 있지 않다는 명백한 증거다. 데이터에 의존하겠다는 미 중앙은행(Fed)의 비둘기 전환에 관한 생각은 좋게 말하면 시기상조이고 나쁘게 말하면 망상이다."(네드데이비스)
5일(미 동부 시간) 아침 8시 30분, 미 노동부의 7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된 뒤 월가에서 내놓은 반응입니다. 고용 수치는 월가 예상을 훨씬 넘어 뜨겁다 못해 '지글지글' (sizzling, 블룸버그) 끓었습니다.
① 예상 두 배 웃돈 일자리
7월 신규 일자리는 52만8000개 증가했습니다. 예상cl 25만8000개를 두 배 이상 상회했습니다. 게다가 6월 수치가 기존 37만2000개가 39만8000개로 더 높게 수정되면서 지난 두 달간 수치도 2만8000개나 늘어났습니다.
이로써 미국 경제는 지난달로 팬데믹 때 잃어버린 모든 일자리를 되찾았습니다. 29개월 만입니다. 경제 침체 때 회복 속도로는 신기록입니다.
팬데믹에서 회복된 뒤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아 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레저·접객 업종에서 일자리가 9만6000개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경기에 민감한 건설, 제조업과 금융업에서도 모두 일자리가 늘었습니다.
실업률은 6월 3.6%에서 3.5%로 떨어졌습니다. 2020년 초 팬데믹 직전 기록이며, 반세기 내 최저치입니다.
 
② 걱정되는 임금 상승률
시간당 평균 소득은 전월 대비 0.5%(정확히는 0.47%), 1년 전보다 5.2% 증가해 예상(0.3%)보다 훨씬 더 높았습니다. 게다가 6월 임금 상승률도 기존 0.31%에서 0.44%로 높게 수정됐습니다. Fed가 지난 3월부터 긴축을 시작했는데도, 노동시장에선 임금 상승 폭이 더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③ 낮아진 노동참여율
경제활동 참가율(일하거나 구직 중인 성인 비율)은 전월 62.2%에서 7월 62.1%로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5월 62.3%에서 지난 6월 62.2%로 떨어진 데 이어 계속 낮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경제활동 참가율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한 바 있습니다. 수요는 많은데, 노동시장 참여자가 감소하면 임금 상승률이 낮아지기 어렵습니다.
고용보고서는 미국 경제에 좋은 소식입니다. 이미 경기 침체에 들어갔다는 주장은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보고서에서 Fed가 반길만한 내용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단, 하나 노동시장 냉각 징후라면 가계조사에서 시간제 노동자 수가 30만3000명 증가한 것임) 노동시장을 식혀서 임금 상승률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해왔는데, 7월 고용보고서에선 그런 효과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더 조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 고문은 "매우 강력한 수치가 나왔고 특히 노동참여율은 떨어지고 임금 상승률은 예상보다 높았다"라면서 "모든 수치는 더 공격적인 Fed의 긴축을 예상하게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하버드대의 제이슨 퍼먼 교수는 "불편할 정도로 뜨거운 고용보고서"라면서 "특히 임금상승률이 더 높아졌다는 것은 매우 걱정하게 만든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순식간에 뉴욕 채권 시장에서 금리가 폭등했습니다. 2년물은 16bp가 올라 3.213%까지 치솟았고 10년물은 거의 10bp 오른 2.80%를 기록했습니다. 장중 각각 3.242%와 2.861%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2년물의 상승 폭이 더 큰 것은 Fed가 단기에 기준금리를 더 올릴 것이란 예상이 커진 탓입니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Fed 워치 시장에서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75bp 인상할 것이란 베팅이 발표 직전 34%에서 67%로 치솟았습니다.
KPMG의 다이언 스웽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2만8000개의 신규 일자리와 더 낮은 실업률 및 노동참여율은 Fed를 75bp 인상으로 내몰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월가 일부에서는 9월 100bp 인상, 8월 긴급회의를 통한 인상 예상 등도 흘러나왔습니다. 찰스 슈왑의 리즈 앤 손더스 전략가는 "우리 기본 사례는 아니지만, 만약 인플레이션 보고서가 뜨겁다면 8월 긴급 인상에 관한 얘기도 나오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JP모건은 고용보고서가 발표된 직후 9월 75bp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은 완화되지만, Fed가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우려를 증폭시킬 것"이라며 "데이터가 흔들리지 않는 한 9월에 75bp 인상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Fed가 올해 말 기준금리를 3.5~3.75%까지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기존 예상보다 25bp를 더 높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BofA는 Fed가 9월 50bp, 11월 50bp(기존 25bp), 12월 25bp 올릴 것으로 봤습니다. 마크 카바나 채권 전략가는 "고용보고서는 오는 9월에 75bp 금리 인상이 진행 중임을 의미한다"라며 "시장은 Fed가 정말 데이터에 의존한다면 (다른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강력하다면) 더 빨리 움직여야 한다고 본다"라고 말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9월 50bp 인상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얀 헤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 고용보고서는 과열된 노동시장을 나타내지만, 이는 계속 조여지고 있다. 우리는 계속해서 올해 100bp(9월 50bp, 11월 25bp, 12월 25bp) 인상을 예상한다. 좀 더 빨리 올리거나 더 크게 올릴 수 있는 위험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웰스파고는 "9월 최소 50bp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향후 두 차례 소비자물가(CPI)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 징후가 나타나지 않으면 75bp가 인상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9월 FOMC까지는 △다음 주 10일, 7월 CPI △9월 2일, 8월 고용보고서 △9월 13일, 8월 CPI 등 세 개의 핵심 경제 지표가 남았습니다. 언스트앤드영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8일 후에는 덜 낙관적인 보고서를 받을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소폭 상승하던 주가지수 선물은 급락했습니다. 월가는 그동안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라는 내러티브 속에서 반등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이번 주 Fed 위원들이 벌떼처럼 나와 Fed 전환에 대한 기대를 많이 식혀놓았기 때문에 폭락하진 않았습니다. 오전 9시 30분 다우는 0.41%, S&P500 지수는 0.96% 내리면서 출발했고 나스닥은 1.25% 떨어진 채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B. 라일리의 아트 호건 전략가는 CNBC 인터뷰에서 "'Fed가 내년에 선회하고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말에 증시에 뛰어든 사람은 다음 역에서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뉴욕 증시는 쉽게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하락 폭을 줄였습니다. 결국, 다우는 0.23%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S&P500 지수는 0.16%, 나스닥은 0.50% 내림세로 마무리됐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뜨거운 고용보고서로 인해 Fed의 전환에 대한 기대가 무너졌는데도 매도 압력이 그리 강하지 않았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동안 시장을 이끌던 기술주들은 금리 급등세 속에 하락세를 보이긴 했지만, 애플(-0.28%) 마이크로소프트(=0.26%) 등에서 보듯 내림 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전날 주주총회에서 3대 1 주식분할 등을 결정한 테슬라가 6.63% 떨어졌지만 "뉴스에 팔아라"라는 증시 격언에 따른 매도로 풀이됐습니다.
특히 JP모건(3.03%) 웰스파고(2.31%) 엑슨모빌(1.45%) 셰브런(1.65%) 등 은행 에너지 등 가치주가 크게 오르면서 기술주 공백을 메웠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겁다는 건 기본적으로 좋은 뉴스"라며 "경기 침체가 없다면 증시가 벌써 바닥을 찍었을 수 있다는 얘기가 여전히 나돈다. 일부에서는 Fed가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은 잡지만, 경기 침체는 피하는 '골디락스' 상황을 계속 꿈꾸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경기가 괜찮으리라 생각하니 경기민감주인 에너지, 은행주 등이 오른 것입니다. 경기에 민감한 소형주도 비상했습니다.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0.81% 상승했습니다. 코메리카 웰스 매니지먼트의 존 린치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이번 현상이 최근 약세장 랠리가 끝났다는 신호라고 믿는다"라며 "투자자들이 높은 금리의 현실을 수용하고 가치주, 소형주, 에너지와 산업주를 포함한 경기순환주를 선호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뉴욕 증시가 지난 1월 3일 고점에서 23.6%까지 떨어졌다가 거의 그 절반 정도를 회복한 가운데, BTIG의 조너선 크린스키 전략가는 "과거 베어마켓 랠리에서 50%를 넘게 하락 폭을 회복하면 그 이후 새로운 저점을 만든 적은 없었다"라고 밝혔습니다. 즉 하락장이 끝난다는 것이죠. 그러면서 S&P500 지수의 50% 되돌림 지점이 4231인데, 만약 지수가 이 지점을 넘어서면 지난 6월이 바닥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주장도 매수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경기 침체가 아니지만, 침체가 오는 시점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불길한 전망이 이날 많이 나왔습니다. Fed가 더 공격적으로 긴축할 것이고, 이는 더 빠른 침체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파인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마커스 쇼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간단히 말해 경기 침체 위험을 높이는 나쁜 보고서였다. 왜냐하면 Fed는 금리가 더 높일 수 있다고 느낄 것이고, 경제를 3분기에 침체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린시펄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시마 샤 전략가는 “9월 75bps 인상이 거의 확정됐으며 기준금리는 4% 이상으로 올라갈 것이다. 오늘 수치로 이를 의심하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르네상스 매크로의 닐 두타 이코노미스트는 "Fed가 금리를 인상하는 데 더 공격적이어야 한다는 점은 경착륙 시나리오의 가능성을 높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Fed의 공격적 긴축에 대한 예상은 달러에서도 드러났습니다. ICE 달러 인덱스는 이날 0.8% 오른 106.58에 거래됐습니다. 서부텍사스원유는 장 초반 뜨거운 고용 수치에 배럴당 90달러 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경기 침체가 빨라질 수 있다'라는 주장이 커지자 오후 5시께 전날보다 0.01% 내린 배럴당 88달러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또 2년/10년물 국채 수익률 곡선의 역전 폭은 한때 45bp까지 벌어졌습니다. 2000년 이후 최대입니다. 수익률 곡선 역전은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됩니다.
다음 주 가장 큰 이벤트는 역시 7월 CPI 발표입니다. 10일 아침 8시 30분, 한국 시각으로는 10일 밤 9시 30분에 나옵니다. 월가의 컨센서스는 헤드라인 수치가 전년 대비 8.7%(6월 9.1%) 전월 대비 0.2%(1.3%)로 6월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네드데이비스 리서치의 알레한드로 그랜들 이코노미스트는 "에너지 가격이 7월에 하락했기 때문에 7월 CPI는 당연히 6월에 비해 좋아 보일 것이다. 명심할 것은 6월에 본 CPI 증가의 약 3분의 1이 에너지 가격 때문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에너지와 음식물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전년 대비 6.1%(5.9%) 전월 대비 0.5%(0.7%)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주거비 상승세 등이 더 가팔라지면서 근원 물가는 6월보다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예상입니다. 만하임 중고차 지수를 보면 중고차 가격 등도 7월에 올라갔을 수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과는 다른 추세입니다. 지금까지는 에너지 가격이 올라 헤드라인 수치가 더 많이 상승했었죠. 게다가 Fed가 원래 중시하는 건 통화정책의 영향권에 있는 근원 물가입니다. 만약 이 수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다면 더 강한 긴축 예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ING는 "최근 휘발유 가격의 급락으로 헤드라인 CP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고 연간 수치도 9.1%에서 8.7%로 둔화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주거비 상승으로 근원 물가는 여전히 전월 대비 0.4%, 헤드라인은 6%로 상승할 것"이라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는 건 여전히 긴 싸움이라는 뜻"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11일에는 7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예비치)가 발표됩니다. 여기에는 소비자들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비자 심리에 중요한 휘발유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에 기대치도 떨어졌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분기 어닝시즌은 거의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다음 주 월트디즈니(10일)가 가장 중요합니다. 팩트셋에 따르면 87%의 S&P500 기업이 결과를 보고했는데, 이들 기업 중 75%가 주당순이익(EPS)이 월가 추정치를 넘었습니다. 지난주 73%보다 높지만 5년 평균인 77%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종합적으로, 기업들은 추정치보다 3.4% 높은 이익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주 3.1%보다 높지만 5년 평균인 8.8%보다 낮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s://www.youtube.com/watch?v=aBb5XCjuYQo 

▲3대 지수 혼조 채권: 금리 급등.. 2년물 19bp 급등하며 3.2% / 10년물 16bp 이상 급등하며 2.839% 외환: 달러화 지수 상승.. DXY 106.5 유가: WTI +0.53% 배럴당 89.01달러

▲고용지표, 깜짝 호조

 7월 비농업 부문 고용, 52만8천 명 증가 예상치(25만8천 명 증가)보다 두 배 이상 7월 실업률 3.5%..팬데믹 직전 수준

▲전문가 평가..

 9월 FOMC 75bp 자이언트 스텝 유력 금리선물시장, 75bp 66.5%..전일 34%대에서 급등 릭 라이더 / 블랙록 CIO "고용 강세, 연준이 아마도 75bp 단행할 것이라는 점 시사.. CPI가 급격하게 약화하지 않는다면" 급등하고 있는 임금, 정체된 경제활동 참가율 향후 인플레 부추길 핵심 지표로 지목

▲다음주 10일 7월 CPI 발표 예정, 지난달 9.1%... 8.7%로 둔화 예상 근원 CPI는 6.1% 예상..전월치 5.9%보다 높을듯 소비자심리지수, 기대인플레도 발표

▲섹터, 종목  자재, 부동산, 산업, 금융, 에너지 제외 하락 종목

https://finviz.com/map.ashx 아마존, 주당 61달러에 아이로봇 인수 계약 체결 AMC 우선주 형태로 주식 발행해 특별 배당 버진 갤럭틱, 첫 상업비행 일정 연기 질로우, 주택시장 둔화 반영, 3분기 전망치 하향 워너브라더스 2분기 손실 전환

 

▲주간 평가 S&P 0.4% 상승 / 나스닥 2.2% 상승 /다우 0.1% 하락 S&P, 나스닥 3주 연속 상승

 

S&P 500 Map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finviz.com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9 뉴욕 증시 마감  (0) 2022.08.13
20220808 뉴욕 증시 마감  (0) 2022.08.13
20220804 뉴욕 증시 마감  (0) 2022.08.06
20220803 뉴욕 증시 마감  (0) 2022.08.06
20220802 뉴욕 증시 마감  (1) 2022.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