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산업 (08/04)
32,726.82 -0.26%
🇺🇸 나스닥 (08/04)
12,720.58 +0.41%
🇺🇸 S&P 500 (08/04)
4,151.94 -0.08%
🇩🇪 독일 DAX30 (08/04)
13,662.68 +0.55%
🇬🇧 영국 FTSE100 (08/04)
7,448.06 +0.03%
뉴욕증시, 고용 보고서 앞두고 혼조…다우 0.26%↓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다음날 예정된 미국의 고용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5.68포인트(0.26%) 하락한 32,726.82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3포인트(0.08%) 떨어진 4,151.94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2.42포인트(0.41%) 오른 12,720.58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과 고용 관련 지표를 주시하며 방향성을 모색했다.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으나 주가는 엇갈리고 있다.
전기 트럭업체 니콜라의 주가는 회사의 분기 손실이 예상보다 적고,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6% 이상 올랐다.
루시드의 주가는 생산 예상치를 축소했다는 소식에 9% 이상 하락했다. 뉴욕에 상장된 알리바바의 주가는 회사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는 소식에 1% 이상 올랐다.
코노코필립스의 주가는 분기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1% 이상 하락했다. 일라이릴리의 주가는 매출이 부진했다는 소식에 2% 이상 하락했다.
고용 시장에서는 둔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챌린저, 그레이 앤 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7월 감원 계획은 2만5천810명으로 전월보다 21% 감소했으나 전월 기록한 3만2천517명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7월 감원 계획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6.3% 증가했다.
미국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월가 예상 수준에 부합했으나 전달보다 6천 명 증가했다. 지난달 30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6천 명 증가한 26만 명으로 집계됐다.
시장은 다음날 발표되는 7월 고용보고서를 주시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25만8천 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달의 37만2천 명보다 줄어든 것이다. 실업률은 3.6%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고용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 폭을 결정하는 주요 잣대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연준 당국자의 매파적 발언은 이날도 이어졌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기 시작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진전을 이뤘다고 확신하기 전에 몇 달간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것을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시장이 연준의 신호에 랠리를 보인 것과 관련해 "약간 당황스럽다"라고 말했다.
더들리 전 총재는 "연준은 여전히 노동시장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슬랙(유휴노동력)의 규모나 2%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라며 연준이 또 한 번 0.75%포인트가량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 은행은 이날 1995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했다. 이번 금리 인상은 6회 연속 인상이다.
잉글랜드 은행은 영국이 올해 4분기에 경기침체에 들어갈 것으로 예고했고, 인플레이션은 13%를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침체를 예상하면서도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고용보고서를 통해 향후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를 가늠하려 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시장이 너무 일찍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완화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로웬가트 투자 전략 매니징 디렉터는 CNBC에 "다음날 예정된 고용보고서를 앞두고 이날 나온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시장이나 연준을 움직일 재료가 아니다"라며 "투자자들은 6월처럼 노동시장이 연준의 금리 인상 행보를 견딜 수 있을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데스몬드 로렌스 선임 투자 전략가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약간의 약세장 랠리가 있을 수 있다"라며 투자자들은 경제 성장 둔화가 연준의 금리 인상을 후퇴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이는 "약간 시기상조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도 경제가 둔화로 돌아서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상당히 높다고 지적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64.5%에 달했다. 전날의 57%에서 오른 것이다.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35.5%로 전날의 43%에서 하락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1포인트(2.32%) 하락한 21.44를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8058541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경기 침체 닥쳐도 금리 인상 지속?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경기 침체 닥쳐도 금리 인상 지속?,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경기 침체 닥쳐도 금리 인상 지속?


월가는 경기 침체가 오면 중앙은행이 긴축을 중단하고 인하할 것으로 예상해왔습니다. 하지만 경제 침체가 와도 '인플레이션이 높다면' 중앙은행이 계속 금리를 높일 수 있다는 게 BOE에서 확인됐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침체된 경제조차도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임무를 우선시하는 것을 막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블룸버그TV의 조너선 페로 앵커는 "장기 경기 침체와 13%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면서 50bp 금리를 인상한 게 Fed라고 생각해보라"라며 "그게 BOE가 한 것이고 정말 잔혹하다"라고 말했습니다.





UBS의 제이슨 드라코 자산 배분 헤드는 "지난 FOMC에서 비둘기파들은 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비둘기파적으로 전환했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쪽은 6월과 같은 매파적 메시지를 전했다고 생각했다"라면서 "비둘기파들이 Fed가 전환하리라고 빠르게 결론을 낸 것은 약간의 의외였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드라코 헤드는 "Fed의 매파적 성향은 올해 변화하는 데이터와 시장 상황에 따라 계속 강화되고 있다"라면서 "앞으로의 금리 인상 경로는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빨리 하락하는가, 얼마나 성장이 빨리 둔화하는가 데이터에 달려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경제 및 시장 환경은 여전히 도전적이며 펀더멘털은 일주일 만에 다른 Fed의 미래 경로를 예상할 만큼 충분히 변하지 않았다"라며 "인플레이션이 Fed가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실하게 떨어지고 연준이 의심할 여지 없이 전환할 수 있을 때까지는 위험 자산에서 새로운 강세장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① 거시 경제 재평가에 따른 숏커버링이 있었다. 많은 시장 참여자가 Fed가 인플레이션에서 다시 경제 성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성장이 계속 실망스러우면 예상보다 빨리 긴축 사이클이 끝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서 공매도 포지션을 정리했다)
② 2분기가 올해 가장 나쁜 분기가 될 것처럼 여겨지는 상황에서 거대 기술주들이 줄줄이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내놓았다.
④ 엄청난 자금이 옆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래서 시장 거래량과 유동성이 가벼웠다. 이는 작은 움직임을 증폭시켰다. 우리는 랠리를 쫓는 많은 기관투자자의 움직임은 보지 못했다. 그들은 지금이 또 다른 베어마켓 랠리라고 믿는다.
⑤ 어느 시점에 대기 자금 일부가 시장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는 여전히 주가가 새로운 테스트를 받을 것이고 새 저점이 나타날 것으로 본다. 그들은 변동성 지수(VIX)가 40이 넘고 S&P500 지수가 4~5% 급락하는 '대청소의 날'(Flush day)을 기다린다. 과거 바닥이 나타날 때 그랬다.



서부텍사스원유(WTI)는 이날 2.34% 하락한 배럴당 88.54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월 2일 이후 처음 배럴당 9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브렌트유도 배럴당 1.3% 하락한 95.5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유럽 등의 경기가 악화하고 있는 데다, 미국에서는 드라이빙 시즌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 안정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요인일 뿐 아니라 경기 둔화 속도도 낮출 수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한달 반 이상 지속된 휘발유 가격의 하락은 (우리가 생각하는) .경기 침체의 시작 시점을 몇 달 정도 지연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s://www.youtube.com/watch?v=MnhIBQ7hWHc
2022. 8. 4. ▲3대 지수 상승 다우 +1.29% / S&P500 +1.56% / 나스닥 +2.59% 채권: 금리 급등..10년물 +18bp..2.75%/ 2년물 +16bp..3.03% 외환: 달러화 강세.. DXY 106.4 유가: WTI -4%..배럴당 90.66달러 OPEC+, 9월 증산량 하루 10만 배럴로 줄이기로.. 금 선물 -0.7%..온스당 1,776.40달러
▲오늘 장 평가 증시 3거래일 만에 반등 나스닥, 2.5% 이상 급등.. 다우 400포인트 이상 상승 https://www.cnbc.com/2022/08/02/dow-f... 투자자, 경제 지표 개선에 안심..? 연준 인사 발언도 긍정적 해석 미국 대만 갈등도 일단 안심 실적 발표 상황도 '괜찮아' https://www.marketwatch.com/articles/... 루이스 나블리어 / 나블리어 "펠로시 대만 방문은 지난 이야기..짧은 매수기회가 있고 시장은 더 위로 가기 원한다" "나쁜 뉴스가 좋은 뉴스인 상황..경제에 좋지 않은 지표가 나와야 주가가 오른다"
▲경제 지표.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 ISM 7월 서비스업 PMI 56.7..전월비 +1.4% 6월 2년 만에 최저치 기록 후 소폭 반등 신규 수주-고용 모두 증가세 나타나 "ISM 지표, 반인플레적 모습 보여..물가지표 개선되고 배송시간 축소" https://www.fxstreet.com/news/us-sp-g... S&P 7월 서비스업 PMI는 위축 나타내..47.3 서비스업 PMI 위축 국면은 2년 1개월 만에 처음
▲연준 인사 발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https://www.cnbc.com/2022/08/03/feds-... "인플레가 모든 면에서 꺾이고 있고, 확실히 내려온다는 증거 얻으려면 (금리가) 더 오랜 기간 더 높아져야 할 것" "올해 금리 1.5%p 쯤 추가 인상 예상" 연말 기준금리 3.75%~4%까지 예상한다는 의미 "미국, 지금 침체 아니다. GDP 성장률이 두 분기 마이너스 기록했지만, 보는 이에 따라 다르다" "상반기에 나타난 고용 증가세 고려하면 침체라고 말하기 어려워..실업률 3.6%로 고정된 것도 침체라 보기 어려운 이유" https://www.reuters.com/markets/us/fe...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인플레 목표치 2% 달성 위해 최선 다해" "분명하게 필요한 조치 취할 것" "인플레 통제할 수 있는 경로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 나타날 수도" "현재 월 40만 명에 가까운 고용 증가 속도, 3.6% 실업률은 (경기침체에) 맞지 않는다" "인플레 꺾일 것..하지만 즉각적으로, 갑자기 하락하는 게 아니다"
▲기업실적, 대체로 긍정적 CVS헬스·모더나 예상치 웃도는 실적 발표 AMD, 예상 웃도는 실적에도 주가는 하락 로빈후드, 직원 23% 감원 발표 후 주가 급등 언더아머, 매출 예상치 상회 에어비앤비, 순익 전환 소식에도 하락 페이팔, 예상치 웃돈 실적+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https://www.cnbc.com/2022/08/03/wedne... BofA, AMD에 '매수' 의견 유지 "AMD, 올해 실적 전망치 맞출 듯..매집하기 좋은 기회" BofA, 스타벅스 '매수' 의견 "스타벅스, 미국 외 영국과 일본 등에서도 우호적 실적 발표" 레이몬드 제임스, 우버 '시장 수익률 상회'로 상향 "우버 2분기 실적과 향후 가이던스가 우수" ▲섹터종목 https://www.cnbc.com/sectors/ 에너지 제외 전섹터 상승.. https://finviz.com/map.ashx 빅테크, 랠리 애플 4% 가까이 급등.. 마소 3% / 구글 2.6% / 아마존 4.5% / 테슬라 2.6% / 메타 5% https://www.cnbc.com/2022/06/07/us-st... 씨티그룹, "아마존, 메타 등 과매도권" "과매도권 종목들 약한 랠리 기대"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13 |
---|---|
20220805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20220803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20220802 뉴욕 증시 마감 (1) | 2022.08.06 |
2022080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