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산업 (08/02)
32,396.17 -1.23%
🇺🇸 나스닥 (08/02)
12,348.76 -0.16%
🇺🇸 S&P 500 (08/02)
4,091.19 -0.67%
🇩🇪 독일 DAX30 (08/02)
13,449.20 -0.23%
🇬🇧 영국 FTSE100 (08/02)
7,409.11 -0.06%
뉴욕증시, 미중 긴장 속에 하락…다우1.23%↓ 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의 정치적 긴장 고조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발언에 하락했다.
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2.23포인트(1.23%) 하락한 32,396.1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7.44포인트(0.67%) 떨어진 4,091.19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0.22포인트(0.16%) 밀린 12,348.76으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따른 정치적 긴장과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 기업들의 실적 등을 주시했다.
펠로시 의장은 중국의 반발에도 현지시간 2일 밤 대만에 도착했다.
펠로시 의장은 대만 도착 후 낸 성명에서 "미 의회 대표단의 대만 방문은 대만의 힘찬 민주주의를 지원하려는 미국의 확고한 약속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측은 이번 펠로시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은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았으며,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과도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이 이뤄질 경우 "결연하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 주권과 안보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미 해군이 필리핀해에 전함 4척을 전개한 가운데, 이날 오전 중국군 전투기 4대가 대만 해협 중간선을 근접 비행하는 등 일순간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지속해야 한다는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바뀌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는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며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내려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아직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노력이 끝나려면 멀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다"라며 2%의 물가 목표와 비교할 때 "갈 길이 멀었다"라고 말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올해 남은 기간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 수 있길 바란다면서도 향후 나오는 지표에 따라 9월 회의에서 0.75%포인트 인상도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9월 금리 인상 폭은 0.50%포인트가 합리적이라고 보지만, 인플레이션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6월 채용공고가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져 노동시장이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 노동부 JOLTs (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6월 채용공고는 약 1천69만8천 건으로 월가의 예상치 1천100만 건보다 적었고, 수정된 전월치 1천130만3천 건보다 60만5천 건가량 줄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도 주목했다.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소셜미디어 업체 핀터레스트의 주가는 11% 이상 올랐다. 실적 부진에도 행동주의 투자자 엘리엇이 투자 사실을 확인하면서 주가가 오름세를 보였다.
에너지업체 BP의 주가는 예상치를 크게 웃돈 실적 발표에 1%가량 올랐다.
우버의 주가는 분기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18%가량 올랐다.
중장비업체 캐터필러의 주가는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 발표에 5% 이상 하락했고, 듀폰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회사가 경제적 역풍이 3분기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2% 이상 하락했다.
투자은행 코웬의 주가는 캐나다 TD은행이 인수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8% 이상 올랐다.
이날은 장 마감 후 스타벅스, 에어비앤비, AMD, 페이팔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S&P500지수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고, 부동산, 금융, 산업, 자재(소재) 관련주가 모두 1% 이상 떨어졌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이 미중 관계를 추가로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에드워드 존스의 모나 마하잔 선임 투자 전략가는 CNBC에 "이번 방문이 실질적인 경제적 차질을 가져오지는 않겠지만, (나오는) 발언이나 헤드라인이 격해지기 시작할 것"이라며 "이는 우리가 앞으로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알타프 카사만 투자전략 대표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하더라도 걱정해야 할 것이 여전히 많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도 미지의 변수가 너무 많다. 시장은 중앙은행들이 지표에 더 의존하는 방식을 따를 것이라는 점에서 더 변동성이 커질 것이며, 밸류에이션은 매수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엄청나게 낮지도 않다"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60.5%에 달했다. 전날의 71%에서 하락했다.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39.5%로 전날의 29%에서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9포인트(4.77%) 오른 23.93을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8033067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Fed의 역습→금리 폭등, 힘 잃은 '긴축 속도 조절론'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Fed의 역습→금리 폭등, 힘 잃은 '긴축 속도 조절론',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Fed의 역습→금리 폭등, 힘 잃은 '긴축 속도 조절론'

① 펠로시의 대만 방문
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이 타이완을 방문한다는 소식에 아시아 증시가 급락하면서 새벽부터 뉴욕 증시의 주가지수 선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국 정부가 군사적 대응을 포함한 결연하고 강력한 대처를 경고하면서 지정학적 위기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것입니다. 인민해방군은 펠로시가 도착하는 2일 밤부터 대만 주변에서 일련의 군사훈련에 나섰습니다. 펠로시 의장 일행이 탑승한 미군 수송기가 대만에 접근할 무렵엔 중국군 군용기 20대가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 진입했고 미국도 일본 오키나와 기지에서 전투기 8대, 공중급유기 5대가 출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월가에선 펠로시 의장의 방문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는 등 대규모 지정학적 위기로 번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봤습니다. 바이탈 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는 "펠로시의 방문 일정은 수요일 끝날 것이고, 목요일이면 투자자 관심은 금요일에 발표될 7월 고용보고서와 다음 주에 나올 7월 소비자물가(CPI), 그리고 미 중앙은행(Fed)의 전환 가능성 등 경제적 이슈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JP모건의 트레이딩 데스크는 고객 메모를 통해 "올해 여러 명의 미국 연방상원의원들이 줄줄이 대만을 방문했다. 펠로시 의장은 오늘 미국 증시가 개장한 뒤 한 시간 이내에 대만에 도착할 것이고, 별일이 없다면 증시가 상승세로 전환하는 걸 보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② 연착륙 가능성→힘 잃은 '속도 조절론'



이날 수치는 노동시장이 냉각되는 가운데서도 잘 버티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 침체 우려를 덜어주는 것이었습니다. 제프리스는 "지난 석 달 동안의 JOLTs 보고서가 Fed의 연착륙 시나리오와 일치한다는 점을 인정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미국 경제에는 좋은 뉴스였고, Fed가 원하는 수치였을 수 있다"라면서 "하지만 '나쁜 뉴스는 좋은 뉴스'라는 지금 시장 내러티브에 맞지 않았다"라고 말했습니다. 노동시장이 급랭하면서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는 게 Fed의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증시엔 더 좋은 시나리오였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증시엔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습니다. 또 채권 시장에선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줄어든 때문입니다.
③ Fed의 역습


이들 중 올해 FOMC 투표권자는 메스터 총재밖에 없습니다. 시장이 긴장한 게 하나 더 있습니다. '매파'이자 투표권자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이날 저녁 뉴욕에서 연설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분위기로 볼 때 불러드 총재의 발언은 매우 강할 것입니다.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욕생명의 윤제성 최고투자책임자(CIO)에게 증시 향방에 관해 물어봤습니다. 그의 답을 전합니다.

▶내 은퇴 계좌를 위해, 나는 여전히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억제되겠지만, 연준이 주식 시장을 다시 뜨거워지게 놔둘 여유는 없으므로 나는 랠리에 매도하고 시장의 행복감이 사라지기를 기다릴 것입니다. (사라지면 사겠다는 뜻)

https://www.youtube.com/watch?v=zi3JC5WoDew
다우 -1.23%/ S&P -0.67%/ 나스닥 -0.16% 하락
채권: 10년물 7bp 하락해 2.57%/ 2년물 1bp 하락해 2.86% 외환: DXY 상승.. 106.2 유가: WTI +0.56%..배럴당 94.42달러 ▲펠로시 대만 방문..미-중 정치적 긴장 고조
펠로시 의장, 어제 밤 대만 상륙 펠로시, 대만땅 밟자마자 "시진핑, 인권·법치 무시" 직격 펠로시 의장, 대만 총통 접견 후 의회 방문 예정 중국 정부 "거대한 정치적 도발" 중, 100여개 대만상품에 새로운 수입제한 부과 중국, 군사적 조치 포함한 강경 대응 예고 중화권 증시 -2%대 하락..뉴욕증시에도 연결
▲중국 투심 악화된 이유는? 겨우 코로나 봉쇄 이슈 끝내고 포트폴리오 정상화 미-중 긴장, 금융시장 회색코뿔소? 블랙스완? 짐 보겔 / FHN "투자자들, 중국 봉쇄 해제되면 포지션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유라시아 그룹 "미·중 간의 군사적 대치의 장기화와 같은 중대한 안보 위기 가능성 25%" "중국이 공군과 해군의 추가 훈련 지시 가능성..대만이나 미국 기업에 대한 보이콧이나 제재 고려할 가능성도"
▲고용지표, 노동시장 둔화 시사
6월 채용공고 약 1069만8천 건..9개월 만에 최저 "채용 공고 급격히 줄어..미국 노동 시장, 둔화 조짐" 7월 비농업 고용지표, 월가 예상은? 예상치 신규고용 25만8천 건 증가 6월에는 37만2천 명 증가
▲연준 인사들 코멘트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준, 계속 금리 인상할 것" "인플레 바뀌지 않아..해야 할 일 더 많다" "인플레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내려가야" "우리가 경기 침체에 있다고 믿고 있지 않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 "남은 기간 금리 인상 속도 낮출 수도..?" "두 차례 75bp 인상 후 9월에는 50bp 인상 예상했었다" "9월,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75bp 인상할수도..?" "50bp가 합리적, 하지만 75bp 될수 있을 시간 충분해" "11월, 12월, 내년 초까지 25bp 인상으로 돌아가길 희망"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인플레는) 거의 끝났다는 것 근처에도 가지 않았다" "9.1%의 인플레..너무 높다..연준 갈 길 멀어" "연준의 일이 끝났다고 말하는 것은 정말 시기상조"
▲ 오늘의 주요 기업 실적 캐터필러, 2분기 매출 예상 하회 핀터레스트, 순이익 나빴지만 사용자 숫자 양호 BP, 예상치를 크게 웃돈 실적 발표 우버, 분기 매출 크게 증가 듀폰, 실적 좋았지만 3분기 실적 우려 스타벅스 , 중국 봉쇄에도 실적 예상치 상회 에어비엔비, EPS-매출 좋아 에어비앤비, 예약 건수 역대최다.. 20억 바이백도
▲종목 전섹터 하락 시총 대형 종목 빅테크.. 대부분 하락 MS / 애플/ 아마존 약보합 마감 4일 액면분할 앞둔 테슬라, 강보합 마감 로빈후드, 직원 23% 가량 감축 예정..시간외 하락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4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
20220803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6 |
2022080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02 |
20220729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31 |
2022072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