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산업 (06/27)
31,438.26 -0.20%
🇺🇸 나스닥 (06/27)
11,524.55 -0.72%
🇺🇸 S&P 500 (06/27)
3,900.11 -0.30%
🇩🇪 독일 DAX30 (06/27)
13,186.07 +0.52%
🇬🇧 영국 FTSE100 (06/27)
7,258.32 +0.69%
뉴욕증시, 내구재 수주 강세에도 하락…다우 0.20%↓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내구재 수주가 견조하게 나왔음에도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에 지난주의 반등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
2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2.42포인트(0.20%) 하락한 31,438.26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63포인트(0.30%) 떨어진 3,900.1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3.07포인트(0.72%) 밀린 11,524.55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약세장에 진입한 이후 지난 17일 저점 이후 7% 이상 반등했다. 나스닥 지수도 같은 기간 9%가량 올랐다. 3대 지수는 지난주 기술적 반등에 4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으나 이번 주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올해 5월 미국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가 월가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여 경기가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다.
그러나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상무부가 발표한 5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전월 대비 19억 달러(0.7%) 증가한 2천672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2% 증가보다도 많았으며 전달 증가율인 0.4% 증가보다 높아졌다.
지난 5월 매매계약에 들어간 펜딩(에스크로 오픈) 주택 판매도 월가 예상과 달리 상승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5월 펜딩 주택판매지수는 전월보다 0.7% 상승한 99.9를 기록했다. 이는 7개월 만에 반등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4.0% 하락과 상반된 흐름이다.
하지만,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관할 지역의 제조업 활동 지수가 -17.7로 크게 둔화했다는 소식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수는 제로를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가늠한다. 지수가 마이너스대로 떨어졌다는 것은 제조업 경기가 위축세를 보였다는 의미다. 수치는 5월에 마이너스대로 진입한 이후 6월에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 속에 경기 침체 신호를 주목하고 있다. 만약 경기가 후퇴한다는 신호가 나올 경우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12개월 내 미국 경제가 기술적 침체에 직면할 위험이 40%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S&P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유지하면서도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0%에서 1.6%로 하향했다
이번 주 30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5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발표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집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5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7%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월가 예상치에 부합하면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개월 연속 하락하게 된다.
물가 상승세가 고점에 이르렀다는 판단이 나올 경우 주가가 반등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씨티그룹이 S&P500지수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보다 4,700에서 4,200으로 수정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씨티는 앞서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을 50%로 상향한 바 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애널리스트는 최근의 주가 상승은 '베어마켓 랠리', 즉 약세장에서의 일시적 반등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여전히 지수가 바닥을 쳤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S&P500지수 중에 임의소비재, 통신, 자재(소재), 기술, 금융, 부동산 관련주가 모두 하락했고, 에너지, 유틸리티, 헬스 관련주만이 올랐다.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투자의견을 매도로 하향했다는 소식에 10% 이상 하락했다.
스피릿 항공의 주가는 대리 자문사가 스피릿 주주들에게 프런티어 항공의 인수 제안에 찬성할 것을 권고했다는 소식에 8% 가까이 하락했다.
온라인 주식거래 앱 로빈후드의 주가는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로빈후드의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에 14%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가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촉매제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는 CNBC에 시장을 움직일 명확한 "촉매제가 없다"라며 이 때문에 "종잡을 수 없는 시장"이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종류의 약세장 랠리에서는 (주가 흐름은) 너무 과매도됐고, 너무 부정적이었던 것에 대한 (반작용이다)"라며 그러나 "이는 스스로 랠리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스트라테가스의 채권 리서치 대표도 CNBC에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이르렀다는 기대가 높아지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연말까지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인플레이션이 또다시 더 오르게 된다면 모든 베팅이 백지화되고 변동성이 다시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6.3%로 전일의 83.8%에서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82포인트(1.03%) 하락한 26.95를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나이키가 드리운 어둠…마이크론 반도체 흔드나 | 한경닷컴 (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나이키가 드리운 어둠…마이크론, 반도체 흔드나?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나이키가 드리운 어둠…마이크론, 반도체 흔드나?,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 기자기자 스크랩



물론 윌슨은 여전히 비관적입니다. 그는 "S&P500 지수가 최근 저점보다 1배 높은 16.3배로 올라갔는데,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정당화되기 어렵다"라며 "결과적으로 이번 단기 랠리가 더 낮은 저점을 앞둔 베어마켓 랠리에 불과하다고 믿는다. 유일한 질문은 S&P500 지수가 3400~3500 근처에서 바닥을 치는 연착륙(기본 사례)이 발생할지, 아니면 지수가 3000으로 떨어지는 경기 침체(약세 사례)가 생길 것인지 여부"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좋은 경제 지표는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경제 지표 약화→경기 침체 우려→원자재 급락→Fed 긴축 정점 가능성→주가 상승으로 이어진 지난주 내러티브('나쁜 뉴스는 좋은 뉴스')와는 다른 탓입니다. 오안다의 에드 모야 전략가는 "내구재 주문 수치는 경제가 흔들리고는 있지만 아마도 시장 가격에 반영된 것보다는 더 많은 Fed의 금리 인상을 견딜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모두가 아직 확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식이 오를 것이라고 확신하는데 필요한 요인이 아직 불확실한 탓입니다.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정점을 찍고 내려오거나(그렇다면 Fed가 긴축 행보를 바꾸겠지요), 아니면 기업 실적이 최소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란 게 확인이 되어야 지금의 주가가 싼지, 비싼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가는 오는 7월 13일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CPI)가 매우 중요합니다. Fed의 7월 FOMC가 열리기 직전 마지막으로 발표되는 물가 지표입니다.



나이키의 분기 매출은 122억 3000만 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120억 6000만 달러)보다 많았습니다. 또 주당순이익(EPS)을 90센트를 기록해 예상(0.81달러)을 넘었습니다. 정규장에서 2.13% 내린 나이키는 발표 직후 시간외에서 주가가 3%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지만, 콘퍼런스콜이 끝난 뒤 3% 가까운 내림세로 돌아섰습니다.

② 순이익이 예상보다 좋았던 것은 일회성 이익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나이키는 지식재산권의 미국 내 이전에 따른 일회성 세금 혜택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이번 분기 실효 법인세율은 9.1%로 전년 동기 14.0%에 비해 대폭 낮았습니다.

④ 총마진도 45%로 예상(46.8%)보다 낮았습니다. 전년 동기에 비해 0.8%포인트 줄어든 것입니다. 물론 이는 제조업체로는 기록적으로 높은 것이며, 동종 업계에 비해서도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오는 목요일, 29일에는 마이크론이 분기 실적을 발표합니다. 마이크론의 예상 EPS는 2.46달러, 예상 매출은 86억 7000만 달러입니다. 짐 크레이머는 "마이크론은 중국 봉쇄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그 불행이 전체 반도체 주식에 즉시 전염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1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2 |
---|---|
20220708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
20220707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
20220706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
20220705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