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산업 (07/08)
31,338.15 -0.15%
🇺🇸 나스닥 (07/08)
11,635.31 +0.12%
🇺🇸 S&P 500 (07/08)
3,899.38 -0.08%
🇩🇪 독일 DAX30 (07/08)
13,015.23 +1.34%
🇬🇧 영국 FTSE100 (07/08)
7,196.24 +0.10%
뉴욕증시, 고용 호조에 혼조…다우 0.15%↓마감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미국의 6월 고용이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강화된 가운데 혼조세를 보였다.
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40포인트(0.15%) 하락한 31,338.15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4포인트(0.08%) 떨어진 3,899.38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3.96포인트(0.12%) 오른 11,635.31로 거래를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올랐다.
투자자들은 고용보고서와 국채금리 움직임,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 발언 등을 주시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37만2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5만 명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6월 실업률은 3.6%로 4개월 연속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실업률 3.6%는 50년 만의 최저치였던 2020년 2월 기록한 3.5%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미국 고용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연준이 7월에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됐다. 또한 고용이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연준이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도 되살아났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면서도 경기침체가 닥치지는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윌리엄스 총재는 이날 한 연설에서 올해 성장률이 1% 아래로 떨어진 뒤 내년에는 1.5% 근방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 금리 선물 시장에서 트레이더들은 7월에 연준이 금리를 0.75%포인트이상으로 인상할 가능성을 100%로 예상했다. 0.75% 인상 가능성은 93%로 예상했고, 처음으로 1%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도 7%로 나왔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고용 보고서로 경제가 강하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다음 회의에서도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고용 보고서 발표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3.10%까지 올랐고, 2년물 국채금리는 3.14%까지 올랐다. 2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를 웃도는 장단기 금리 역전은 이날도 계속됐다.
S&P500 지수 내 헬스와 기술 관련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9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다.
게임스톱의 주가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사임과 여러 부서에 걸쳐 감원이 있을 것이라는 소식에 5%가량 하락했다.
트위터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가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 5% 이상 떨어졌다.
청바지로 유명한 리바이 스트라우스(리바이스)의 주가는 분기 순익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1%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으로 7월에도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웰스파고의 마이클 슈마허 매크로 전략 대표는 CNBC에 "전반적으로 보면 꽤 강한 고용 증가세다. 꽤 좋은 실적 증가가 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달 75bp(0.75%포인트) 금리 인상은 논쟁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BMO 웰스매니지먼트의 영-유 마는 CNBC에 고용보고서와 원자재 가격의 하락이 소위 미국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높였다며 이는 이번 주 주가 반등을 촉진했다고 말했다.
그는 "매우 심각한 경기침체의 일부 공포가 아마도 약간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라며 (그럼에도) "이번 주 시장은 경기침체를 하나의 가능성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44포인트(5.52%) 하락한 24.64를 기록했다.
ysyoon@yna.co.kr
(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고용 서프라이즈 넘었지만 다음 주 줄줄이 지뢰밭 | 한경닷컴 (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고용 '서프라이즈' 넘었지만, 다음 주 줄줄이 '지뢰밭'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고용 '서프라이즈' 넘었지만, 다음 주 줄줄이 '지뢰밭', 김현석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고용 '서프라이즈' 넘었지만, 다음 주 줄줄이 '지뢰밭'

신규 일자리가 37만2000개 늘어난 것으로 나왔습니다. 월가가 예상하던 26만 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민간 분야의 일자리가 38만 개나 증가했고 서비스 등 대부분 업종에서 고용이 늘었습니다. 이전 두 달(4~5월) 신규 고용 수치가 기존 발표된 것보다 7만4000개가 감소한 것으로 하향 조정된 게 그나마 뜨거운 수치를 약간 식혀줬습니다. 낮춰진 5월 수치(38만4000개 증가)를 고려하면 3월부터 이어진 Fed의 긴축에도 불구하고 신규 고용이 전달보다 1만2000개밖에 줄어들지 않은 것입니다. 실업률은 3.6%로 유지됐습니다.





① 경기 침체 우려 감소


고용 지표는 대표적 후행 지표입니다. 경제의 현실을 뒤늦게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파이퍼 샌들러에 따르면 통상 중앙은행의 긴축이 본격화되면 ①주택 경기 냉각→②ISM 신규주문 감소→③기업이익 감소→④고용 감소 등으로 그 영향이 나타납니다. 지금 ②신규주문 감소가 본격화되고 있고 기업이익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얀 헤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 고용보고서는 (고용이 후행 지표라는 점을 감안하면) 과열된 시장이 둔화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라며 "우리는 7월 75bp를 올린 뒤 9월에 50bp, 11월과 12월에는 각각 25bp를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도 같은 경로를 예상했습니다.


민간 비농업 일자리를 가진 모든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달보다 10센트(0.3%) 증가한 32.08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전월의 0.4%에서 하락했습니다. 전년 대비로도 5.1% 증가해 전달의 5.3% 증가보다 둔화했습니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임금 상승이 냉각되고 있는 것과 최근의 원자재 가격 하락은 모두 인플레이션 전망이 Fed가 두려워하는 것보다는 빨리 개선될 것이라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재나 스트리터 선임 분석가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수치를 보니) Fed가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다는 안도감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⑤ 기업 어닝도 괜찮을까?
이날 금리가 치솟으면서 헬스케어 등 경기 방어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모더나(2.22%) 르제네론(2.32%) 유나이티드헬스(0.83%)가 올랐고, 펩시코(0.89%) 코스트코(1.33%)도 상승했습니다. 애플(0.47%) 등 빅테크도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아카데미증권의 피터 치르 전략가는 "이 수치는 Fed의 매파적 성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래서 보고서가 나온 뒤 금리가 더 높게 치솟았다. Fed의 매파 성향 후퇴를 기대하고 상승한 위험 자산에는 좋지 않다"라고 말했습니다.
S&P500 지수는 최근 3900선 주변에 머물고 있습니다. TD아메리트레이드는 "현재 컨센서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은 2022년 215달러, 2023년 약 235달러로 예상되는데 현재 S&P500 지수가 올해 이익의 18배, 2023년 예상 이익의 16.5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대적으로 싼 밸류에이션은 아니며, 그렇다고 특별히 높은 밸류에이션도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오는 14일부터는 2분기 어닝시즌이 본격화됩니다. JP모건과 모건스탠리, 씨티, 웰스파고 등 금융주가 문을 엽니다. 펩시코, 델타항공 등도 실적을 공개합니다. CNBC의 마이크 산톨리 주식평론가는 "많은 이들은 다음주 CPI 발표와 2분기 어닝시즌 시작이 더 큰 혼란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일부 투자자들은 이번 주 상승세가 단기적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기업이익에 대한 추정치가 너무 높아서 하향 조정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많다. 다만 양호한 명목 GDP 성장률과 여전히 건강한 가계 소득을 고려할 때 확실한 것은 아니다. S&P500 지수가 20% 이상 하락하고 주가수익비율(P/E)이 21배에서 16배로 하락한 것은 이익 하락 위험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12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5 |
---|---|
20220711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2 |
20220707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
20220706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
20220705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