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날 예정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기다리며 이틀째 상승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33,291.78 + 322.55포인트(+0.9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4,199.12 +58.35포인트(+ 1.41%)
나스닥 지수 12,639.27 +207.74포인트(+1.67%)
주가는 이틀째 상승했다.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에 대한 경계에도 경제 지표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오고, 파월 의장이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발언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4명의 연준 위원 중에서 3명이 9월 금리 인상 폭에 대해 아직 언급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입을 모았다. 앞으로 한 차례 더 고용과 물가 보고서가 나온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지났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표를 더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파월의 입장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급등세가 고점에 이르렀다고 말하긴 아직 너무 이르다며 연준이 올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9월 기준금리 인상 폭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면서도 지표가 강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또 한 번의 0.75%포인트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고만 언급했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도 이날 CNBC와 가진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광범위한 수준이라며, 아직 연준이 해야 할 일이 더 남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9월 금리 인상 폭에 대해서는 아직 중요한 지표가 남아 말하기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도 기준금리를 3.4%를 웃도는 수준까지 인상하고, 한동안 그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면서도 9월 금리 인상 폭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으며, 8월 물가 지표를 기다린 후에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9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주장해온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올해 금리를 앞당겨 인상하는 것이 타당한 정책이라며 연말까지 금리를 3.75%~4%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이날 나온 미국의 경제 지표는 이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4~6월)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율 마이너스(-) 0.6%를 기록했으나, 앞서 공개된 속보치인 -0.9%보다는 개선됐다.
미국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도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2천 명 감소한 24만3천 명으로 집계돼 2주 연속 줄었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5만5천 명보다 적은 수준이다.
지표 개선에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큰 폭 하락했다. 반면 2년물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유지해 2년물과 10년물 금리 역전 폭은 크게 확대됐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겠지만, 이것이 장기적으로 경제를 침체로 내몰 것이라는 점을 시장이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는 의미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도 주목하고 있다.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엔비디아는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3분기 매출 전망치를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수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소식에도 엔비디아 주가는 다음 분기 실적이 바닥일 수 있다는 기대에 4% 이상 올랐다. 소프트웨어 업체 스노우플레이크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소식에 23% 이상 급등했다.
운동기구 판매업체 펠로톤의 주가는 실적에 대한 실망에 18% 이상 폭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주식 분할 첫날 0.3%가량 하락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올랐고, 자재(소재), 통신 관련주가 2%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파월의 연설 이후 시장이 더 큰 변동성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라보뱅크의 제인 폴리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초매파들이 예상하는 것만큼 파월이 매파적이지 않더라도 매파적일 것"이라며 달러와 연준 톤에 대한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회의 이후에도 유지될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손버그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제프 클링겔호퍼도 저널에 "다소 약한 경제 지표를 용인하는 완전히 매파적인 연준을 보게 될 것"이라며 "오늘 시장의 강세에 놀랐다. 우리는 앞으로 몇 달간 더 많은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마감 시점에 37.5%로 전장의 39%에서 하락했다. 9월에 연준이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62.5%로 전장의 61%에서 올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4포인트(4.56%) 하락한 21.78에 거래됐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0513
뉴욕증시, 파월 연설 대기하며 상승…나스닥 1.67%↑마감 - 연합인포맥스
NYSE 입회장에 트레이더들의 모습(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다음날 예정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기다리며 이틀째 상승했다.25
news.einfomax.co.kr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8269143i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파월=비둘기' 4가지 이유…뉴욕 증시, 먼저 달렸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파월=비둘기' 4가지 이유…뉴욕 증시, 먼저 달렸다?, 김현석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파월=비둘기' 4가지 이유…뉴욕 증시, 먼저 달렸다?

물론 중국 경제가 이런 부양책을 통해 금세 살아날 것으로 보는 월가 금융사는 많지 않습니다. 코로나 제로 정책 탓입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인구의 자연 면역력이 부족하고 고령자의 예방 접종률이 여전히 낮은 상황에서 중국이 코로나 제로 정책을 단기간에 철회하기는 어렵다. 통화 및 재정 정책을 포함한 전통적 부양 조치는 이러한 상황에서 덜 효과적일 수 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인민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미국 중앙은행(Fed)의 지속적 금리 인상으로 인해 다소 제약을 받을 것으로 봤습니다. 재정 부양책도 이미 올해 지방정부의 특별채권 발행을 허용하는 등 선제 집행하고 있는데, 올해 추가 부양책은 내년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필라델피아 연은의 패트릭 하커 총재는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3.4%를 웃도는 수준까지 인상하고, 한동안 그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금리가 3.4%를 넘어서면 경제가 둔화하기 시작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50bp 인상도 상당한 움직임이라며 "서둘러 올렸다가 서둘러 내릴 필요가 없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네 번째, 양적 긴축(QT)이 본격화될 예정이라는 것입니다. 배런스는 "그동안 예상보다 느린 속도로 조용히 진행되던 QT가 9월에 더 공격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사실은 Fed가 다음 달에 금리 인상 규모를 축소하기 시작하기에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배런스는 '잭슨홀이 여름 랠리를 되살리는 방법'(How Jackson Hole Could Revive the Stock Market Rally)이라는 기사를 써서 더욱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고무적인 기술적 신호가 있다(S&P500 지수가 200일 이동평균선을 넘지 못했지만 원래 이 선을 넘어서려면 몇 번 시도해야 한다) △여름 랠리는 Fed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파월이 이 메시지를 고수한다면 주가는 더 오를 수 있다 △잭슨홀 회의는 일반적으로 상승세를 촉진한다(베스포크 인베스트먼트에 따르면 첫날 회의일을 기준으로 이후 1개월간 평균 0.5% 상승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기업들의 실적은 엇갈렸습니다. 엔비디아는 실망스러운 2분기 결과와 낮은 가이던스를 내놓았지만 4%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리 실적 악화를 경고한 뒤 주가가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AMD 마이크론 등 반도체주도 따라 올랐습니다. 세일즈포스의 실적도 좋지 않았습니다. 3.39%나 내렸습니다. 펠로톤은 매출이 30% 감소했고 매출만큼이나 늘어난 적자를 신고한 뒤 18.3% 하락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미국과 중국이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회계 감독권에 관한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하면서 알리바바가 7.97% 상승하는 등 중국 기술주 주가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월가에는 여전히 파월 의장이 매파적으로 나올 것이란 관측이 더 많습니다. UBS는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고 노동 시장이 매우 빡빡하므로 파월이 더 비둘기 같은 태도를 보일 이유가 거의 없다. Fed가 경제 성장을 희생하더라도 물가 안정을 회복하기로 했다는 메시지가 계속되어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라보뱅크의 제인 폴리는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초 매파들이 예상하는 것만큼 파월이 매파적이지 않더라도 매파적일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회의 이후에도 유지될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일일 뉴스 모음의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29 뉴욕 증시 마감 (1) | 2022.09.04 |
---|---|
20220826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28 |
20220824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28 |
20220823 뉴욕 증시 마감 (0) | 2022.08.24 |
20220822 뉴욕 증시 마감 (1) | 2022.08.24 |